블로그 RSS 설정방법과 자동 피드 등록법
블로그 RSS 설정 및 자동 피드 등록 방법
디지털 시대에 많은 블로거들이 자신의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공유하고자 합니다. 그중에서도 RSS(Really Simple Syndication)는 블로그와 소셜 미디어를 통해 최신 콘텐츠를 쉽게 배포하고 수신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블로그 RSS 설정 방법과 자동 피드 등록에 대한 구체적인 절차를 안내해드리겠습니다.

RSS란 무엇인가?
RSS는 웹사이트의 새로운 콘텐츠를 요약하여 제공하는 XML 기반의 콘텐츠 형식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여러 사이트를 방문하지 않고도 원하는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의 새로운 포스트나 뉴스 기사를 RSS 리더를 통해 간편하게 받아볼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RSS 설정하기
티스토리 블로그의 RSS 설정은 다음의 단계를 통해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 설정은 블로그가 검색 엔진에 제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입니다.
1. 관리자 모드 진입
티스토리 블로그에 접속한 후, 화면 오른쪽 상단의 티스토리(T) 로고를 클릭하여 설정 메뉴에 들어갑니다. 그다음 톱니바퀴 아이콘을 클릭하면 관리자 모드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2. 블로그 설정
관리자 모드에 들어가면 다양한 설정 옵션들이 보입니다. 여기서 ‘블로그’ 메뉴를 선택하여 RSS 관련 설정으로 이동합니다.
3. RSS 공개 범위 설정
RSS 설정 화면에서 공개 범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전체 공개’와 ‘부분 공개’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데, 검색 엔진에 콘텐츠를 최대한 노출하기 위해 ‘전체 공개’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4. 공개될 RSS 개수 설정
공개될 RSS 개수를 설정할 수 있는 옵션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10개로 설정되어 있으나, 최대 50개까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최신 콘텐츠를 보여주기 위해 50개로 설정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5. 시간대 설정
표시될 시간대는 ‘Asia/Seoul’로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RSS 확인하기
설정을 모두 마친 후, 블로그의 RSS URL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블로그 주소 뒤에 ‘/rss’를 추가해 들어가면 RSS 피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 주소가 ‘example.tistory.com’이라면 ‘example.tistory.com/rss’를 입력하면 RSS 피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 피드 등록 방법
이제 RSS 설정이 완료되었으니, 이 피드를 다른 플랫폼에 자동으로 등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블로그의 콘텐츠가 보다 넓은 범위로 퍼질 수 있습니다.
1. 구글 서치 콘솔 등록
구글 서치 콘솔은 블로그의 검색 노출을 개선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구글 서치 콘솔에 로그인한 후, 새로운 속성을 추가하여 블로그 주소를 등록합니다. 이후 HTML 태그를 통해 소유권을 인증해야 합니다.
2. 사이트맵 제출
사이트맵은 블로그의 구조를 구글에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블로그 주소 뒤에 ‘/sitemap.xml’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생성된 사이트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주소를 구글 서치 콘솔에 제출하여 검색엔진이 블로그를 잘 인식할 수 있도록 합니다.
3. RSS 제출
RSS 주소도 구글 서치 콘솔에 제출하여 최신 정보를 가져갈 수 있도록 합니다. 블로그 주소 뒤에 ‘/rss’를 붙여 제출하면 됩니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등록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는 네이버 검색 결과에서 블로그를 더욱 부각시키기 위한 도구입니다. 서치 어드바이저에 로그인하여 블로그 주소를 등록한 후, 사이트맵 주소와 RSS 주소를 함께 제출합니다.
1. 서치 어드바이저에서 사이트맵 등록
사이트맵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sitemap.xml’을 입력하여 확인하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네이버도 블로그의 구조를 인식하게 됩니다.
2. RSS 제출
RSS의 경우, 블로그 주소에 ‘/rss’를 붙여 제출하면 됩니다. 이를 통해 네이버 검색 엔진에서도 블로그의 최신 포스트를 인식하게 됩니다.

마무리
위의 방법들을 통해 티스토리 블로그의 RSS 설정과 자동 피드 등록을 완료하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설정은 블로그의 가시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독자들에게 더 나은 접근성을 제공합니다. 각 플랫폼의 관리 도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블로그의 상태를 체크하고 적절한 설정을 유지하시면 더욱 효과적일 것입니다. 성공적인 블로그 운영을 기원합니다!
자주 물으시는 질문
RSS란 무엇인가요?
RSS는 웹사이트의 최신 콘텐츠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XML 형식의 피드입니다. 사용자는 다양한 사이트의 업데이트를 간편하게 받아볼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RSS를 어떻게 설정하나요?
티스토리에서 RSS 설정을 하려면 관리자 모드에 들어가 ‘블로그’ 메뉴에서 RSS 관련 옵션을 조정하면 됩니다.
RSS의 공개 범위는 어떻게 선택하나요?
RSS 공개 범위를 설정할 때, ‘전체 공개’ 옵션을 선택하는 것이 검색 엔진에 콘텐츠를 더 잘 노출시키는 데 유리합니다.
RSS 피드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RSS 피드는 블로그 주소 뒤에 ‘/rss’를 추가하여 접근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최근 게시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에 RSS를 어떻게 제출하나요?
구글 서치 콘솔에 로그인 후, 블로그의 RSS 주소를 추가하여 제출하면 되어 최신 콘텐츠를 구글이 인식하게 됩니다.